로그인해 주세요
앤써구독신청
 
G500신청
 
G500 프리미엄신청
 
휴지통신청
무료신청
앤써 지정배포처
뉴스&이슈
앤써 최신기사
과거로 미래를 키워내다 -...
역사를 잃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했던가.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과거의 실수를...
나를 자라게 만든 한 권의 책
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라 했다. 사회 곳곳에서 창의사고력이 요구되는 오늘날, 자녀의 독...
명문대 합격생의 노하우 공...
엄마의 백 마디 조언보다 동경했던 선배의 한 마디가 더 가슴에 와 닿는 게 아이들이다...
인기기사
교육뉴스
/決 > 교육뉴스
경기도 학생 알바 10명 중 6명 “근로계약서 작성 안 해” 작성일 : 18.10.23(화)
글쓴이 answer hit:78350
경기도 학생 알바 10명 중 6명 “근로계약서 작성 안 해”

 

아르바이트를 해본 경기도 학생 10명 중 6명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는 등 부당한 대우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. 

 

경기도교육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‘경기도 학생들의 아르바이트 실태와 노동인권’ 통계를 보면 2016년에 아르바이트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경기도의 초·중·고교생(3,166명) 중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비율은 42.2%에 불과했다. 

 

나이가 어릴수록 근로계약서 작성 비율이 낮았는데, 중학생은 77.8%(고등학생 54%)가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았다. 

 

또 응답자 중 중학생 45.5%, 고등학생 14%가 2016년 당시 최저임금(시간당 6,030원)에도 미치지 못하는 급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. 

 

학생 가운데 62.7%는 아르바이트하다가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‘참는다’고 대답했고, 26.5%는 ‘일을 그만둔다’, 7.2%는 ‘혼자 묻고 따진다’, 2.4%는 ‘지인과 함께 항의한다’고 응답했다. 

 

아르바이트하는 이유로는 ‘원하는 것을 사는데 돈이 부족해서’라는 대답이 50.4%로 가장 많았다.

 

다른 이유는 ‘사회 경험을 해보고 싶어서’, ‘가정형편에 따른 용돈 벌이’, ‘경제적 형편과는 상관없이 재밌을 것 같아서’ 등 순으로 집계됐다. 

 

경기도교육연구원에 따르면 응답 학생 가운데 특성화고에선 74.2%가 노동인권교육을 받았지만, 일반계고와 중학교에서 노동인권교육 수강 비율은 각각 28.2%와 24.5%에 불과했다. 

 

연구원 관계자는 “학생들도 미래의 노동자인 만큼 이들에 대한 노동인권교육이 더 강화될 필요가 있다”며 “이번 통계자료는 추후 청소년 노동인권교육 정책 개발에 참고하라고 교육 기관들에 배포했다”고 설명했다. 

 

[answer 편집부] www.answerzone.co.kr​​ 


목록
샘플신청 자세히보기
목록보기
회사소개 제휴광고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사이트맵 해오름 앤써샵 블로그